[페미니즘] 1인가구 ( 3 판 )
대개 비혼으로 혼자 사는 가구 형태를 일컫는 말.
현황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8년 여성 1인가구 수는 약 284만3000 가구로 전체 가구의 14%를 차지하였고, 1인가구 내의 여성 비율 또한 50.2%로 남성보다 높았다. 또한, 여성 1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00만원 미만이 56.9%로 빈곤층이 대다수 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군다나 1인가구 여성들은 안전을 위해 가장 필요한 정책으로 주택환경 개선을 선택했을 정도로 주거지와 지역에서 충분한 보호를 받고 있지 못하고 있다.
전라남도 나주
호남지방통계청과 나주시에서 여성 1인가구를 조사한 결과, 2017년 나주시의 여성가구의 월평균 가구소득은 '100만원 이하' 74.5%로 가장 많았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여성가족연구원에서 조사한 결과, 제주도에서 거주하는 여성 1인 가구 형성배경은 개인의 자유 등 자발적 형성(16.3%)보다 이혼·별거·사별(55.5%)과 본인의 직장 또는 학교 문제(20.5%) 등 가족·경제적 환경에 의한 비자발적인 원인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월평균 근로소득은 114만원으로 도시근로자 가구 1인 월평균 소득(약 160만원)보다 낮았으며, 월평균 근로소득이 100만원 미만인 경우도 47.5%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1인 가구 중 일하지 않는 이유는 '건강이 좋지 않아서'가 58.1%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으며, 근로소득이 없는 이유도 '건강하지 않음'이 75.3%로 가장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