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한국여성단체] 페이머즈 ( 7 판 )
개요
페이머즈(FAMERZ, Female-Gamerz)는 현재의 여성 페미니스트 게이머들이 모여 미래의 여성들이 혐오와 차별 없이 게임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기 위해 활동하는 여성 페미니스트 게이머 단체이다.
연혁
페이머즈는 2070년을 배경으로 한 게임 ‘오버워치’의 한국인 여성 프로게이머 캐릭터 ‘디바’를 비롯한 미래의 여성들이 차별받지 않는 한국 사회를 만들고자, ‘전국디바협회’라는 이름으로 2016년 11월 21일 출범하였다. 이후 ‘페이머즈’로 이름을 변경하면서 게임계에 만연한 여성혐오 타파와 남성의 전유물로 여겨지는 게임문화 탈환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이의 일환으로 트위터의 #게임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운동의 연장선으로서 운영되어 왔던 ‘옵치하는 여자들’을 ‘게임계 내 여성혐오 고발계정’으로 확대하여 운영하고 있다. 2017년 오버워치의 총괄 디렉터 '제프 카플란'이 공식석상에서 언급한 바 있다.
2016년
전국디바협회라는 이름으로 깃발과 스티커, 피켓 등을 자체제작하여 박근혜정권 퇴진 집회에 참여하였다.
- 2016년 11월 21일 전국디바협회(前 오직너하나뿐)가 출범하였다.[1]
- 2016년 11월 26일 박근혜정권 퇴진 5차 촛불시위에 참여하였다.
- 2016년 12월 3일 박근혜정권 퇴진 6차 촛불시위에 참여하였다.
- 2016년 12월 10일 박근혜정권 퇴진 7차 촛불시위에 참여 및 페미존 주최에 협력하였다.
- 2016년 12월 24일 첫 스탭 회의를 가졌다.[2]
2017년
전국디바협회로 활동하였다.
- 2017년 1월 21일 세계공동여성행진에 참여하였다.
- 2017년 3월 4일 <페미답게 쭉쭉간다>에 부스로 참여하였다.
- 2017년 3월 8일 <성공회대 여성의날 행사>에 참여하였다.
- 2017년 3월 28일 전국디바협회 시즌 2 활동을 시작하였다.[3]
- 2017년 3월 30일 펭귄 프로젝트가 주최한 <평등한 대학을 위한 펭귄들의 반란>에 부스로 참여하였다.
- 2017년 4월 25일 <오늘 페미니즘에 투표한다>에 부스로 참여하였다.
- 2017년 5월 10일 텀블벅 프로젝트 <헬페미게이머를 위한 전국디바협회의 굿즈 제작>에 성공하였다.
- 2017년 5월 13일 <페미니즘 페스티벌 페밋>에 부스로 참여하였다.
- 2017년 5월 14일 <페밋 핀치라운드 토크>에 패널로 참여하였다.
- 2017년 5월 17일 강남역 여성혐오 살인사건 추모제에 참여하였다.
- 2017년 5월 25일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특강 <미디어씨, 여성혐오없이는 뭘 못해요?:게임 편>을 진행하였다.
- 2017년 5월 전국디바협회 시즌 2 활동을 종료하였다.[4]
- 2017년 6월 3일 제 19회 서울국제여성영화제 <방해말고 꺼져!: 게임과 여성 GTFO: Get the F&#% Out > 스페셜토크에 패널로 참가하였다.
- 2017년 7월 7일 한국사이버성폭력대응센터 주최 국회토론회 <사이버성폭력 근절을 위한 입법정책의 개선방안>에 참여하였다.
- 2017년 7월 15일 제 18회 서울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였다.
- 2017년 9월 3일 페미몬스터즈 주최 <슬럿라이드>에 참여하였다.
- 2017년 9월 11일 전국디바협회 시즌 3 활동을 시작하였다.
- 2017년 9월 23일 제 1회 부산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였다.
- 2017년 10월 8일 <보라x뮤직 페스티벌>에 참여하였다.
- 2017년 10월 29일 <펙타 FeGTA :: 페미 게이머와 게임 개발자들과의 만남> 텀블벅에 성공하였다.
- 2017년 11월 25일 <펙타 FeGTA :: 페미 게이머와 게임 개발자들과의 만남>을 주최하였다.
- 2017년 12월 2일 낙태죄 폐지를 위한 검은 시위에 참여하였다.
- 2017년 12월 22일 불꽃페미액션 주최 달빛 시위 <밤길 걷기: “술 먹고 성범죄 저지르지마”>에 참여하였다.
- 2017년 12월 전국디바협회 시즌3 활동을 종료하였다.
2018년
- 2018년 2월 1일 페이머즈(FAMERZ, Female-gamerz)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미래의 페이머즈를 위해 지금의 페이머즈(Feminist-gamerz)가 싸운다’는 슬로건을 통해 여성 게이머로서 자연스럽고 당당할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데 일조하겠다고 선언하였다. 기수제를 폐지하고 멤버십 회원제로 전환하였으며, ‘옵치하는 여자들’로 운영되던 오버워치 내 여성혐오 고발계정과 통합하여 게임계 내 여성혐오 고발계정(@famerz_GGYG)라는 이름으로 기존 계정주와 공동운영하게 되었다.[5]
- 2018년 2월 14일 게임계 내 여성혐오 고발계정(@famerz_GGYG) 운영을 시작하였다.
- 2018년 3월 4일 세계여성의날 110주년 기념 제 34회 여성대회 광화문 시민난장에 참여하였다.[6]
- 2018년 3월 7일 페이머즈 2018 상반기 커뮤니티 활동을 시작하였다.
- 2018년 3월 8일 여성의 날 기념 홍대 페미퍼레이드에 참여하였다.
- 2018년 3월 29일 '티셔츠게이트' 대응 연대체 조직 회의를 진행하였다.
- 2018년 4월 7일 제 1회 전주퀴어문화축제에 참여하였다.
- 2018년 5월 17일 4차 <#미투 성차별 •성폭력 끝장집회>에 참여하였다.
- 2018년 5월 26일 코리아 엑스포제 <한국 게임 산업의 디바들> 토크에 패널로 참여하였다.
- 2018년 7월 6일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양성평등교육 전문강사 보수과정 <온라인 게임의 젠더이슈> 강연을 진행하였다.
- 2018년 7월 7일 <낙태죄 위헌·폐지 촉구 퍼레이드>에 참여하였다.
- 2018년 7월 21일 서울시 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청소년 #미투 우리에게도 목소리가 있다”: 게임은 남자만의 놀이 문화가 아니다> 강연 및 워크숍을 진행하였다.
- 2018년 8월 18일 5차 <#미투 성차별 •성폭력 끝장집회>에 참여하였다.
- 2018년 10월 23일 <NGO 파트너페어>에 참여하였다.
- 2018년 11월 23일 페이머즈 커뮤니티 운영을 시작하였다.
2019년
- 2019년 7월 6일 <인천 페미니즘 페스티벌>에 참여하였다.
- 2019년 8월 25일 <꼼짝 마! 게임 속 여성혐오 체포하기>를 개최하였다.
- 2019년 10월 18일 <1020세대의 건강한 게임문화를 위한 지침서>를 온라인 배포하였다.
- 2019년 11월 1일 <게임계 내 여성혐오 고발 아카이빙 프로젝트> 사이트를 공개하였다.
2020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