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 정보][생활] 40+20 작업법 ( 1 판 )
개요
“프리랜서로 근무하며 하루 여덟 시간의 작업시간을 건강하게 확보하기 위해 사용하는 ‘40+20 작업법’을 소개하는 글입니다.”
40+20 작업법
김명남 번역가의 40+20 작업법은 처음에는 프리랜서로서 매일 8시간의 업무시간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하루의 업무 일과 중에 휴식 시간을 편성해두지 않으면 체력이 금세 저하될 수 있음을 인지한 이후, 40+20 작업법은 업무 시간과 함께 휴식 시간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으로 무게중심이 옮겨졌다. ‘KMN’ 기호를 통하여 원하는 업무량과 휴식의 사이클을 정한다.
시행 방법
1) 하루에 몇 KMN을 하겠다고 정한다(예: 8KMN)
2) 쪽지에 그 횟수만큼 숫자를 쓴다(예: ➀➁➂➃➄➅➆➇).
3) 몇 시든 좋으니 정각에 자리에 앉는다(예: 오전 10시).
4) 40분 후 알려주도록 설정된 타이머를 켠다.
5) 40분간 집중해서 작업한다.
6) 타이머가 울리면 무조건 일어난 뒤, 1KMN을 했다고 표시한다(예: ➊➁➂➃➄➅➆➇).
7) 20분 쉬면서 다른 일을 한다.
8) 다시 정각이 되면(예: 오전 11시) 무조건 자리에 앉는다.
9) 4)~8)을 목표 횟수만큼 반복한다(예: ➊➋➌➍➎➏➐➑).
10) 하루 일을 마감한다(예: 오후 6시).
기억할 점
1) 일할 때 집중합니다.
2) 쉴 때 긴장을 풉니다.
3) 일할 때 다른 문제를 걱정하지 마세요.
4) 쉴 때 일을 걱정하지 마세요.
5) 가급적 정각에 시작하세요.
6) 앱에 의존하지 마세요.
7) 하루에 10KMN 이상 하지 마세요.
20분의 휴식을 채울 만한 활동
1) 노래 듣기
2) 스트레칭
3) 맨손 운동
4) 간식 먹기
5) 집안일
6) 전화 통화나 문자나 메신저
7) 책 몇 쪽 읽기

